분류 전체보기
-
yt-dlp 사용법Mac의 온도 2022. 7. 13. 01:29
homebrew와 ffmpeg를 사용할 줄 알며 사용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 설명하려고 한다. 홈브루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남겨놓았다. Mac의 강력한 패키지 관리자 "Homebrew" 아마 대부분 패키지 관리자라는 명칭 때문에 혼란스러울 듯하다. 나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는데 쉽게 윈도우에서의 개념으로 설명을 하자면 프로그램들을 도스(CLI) 화면에서 관리하면서 명령어 circumeo.tistory.com 사용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 brew install yt-dlp 명령을 통해 설치한 후 yt-dlp [URL]을 입력하면 동영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지만 가장 고화질+고음질이 아닌 단지 병합된 소스를 받게 되거나 webm 파일로 받게 되는 경우가 있고 멤버십 구독을 통해서만 시청이 가능한 동영상은 위 ..
-
vi, vim 사용법Mac의 온도 2022. 7. 7. 18:46
먼저 vi와 vim은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지만 비슷한 예를 찾자면 튜닝된 차량을 예로 들 수 있는데 vi는 unix의 기본 편집기이며 그를 계량한 것이 vim 되시겠다. 나는 처음 맥을 접하고 많은 정보들을 찾아볼 적에 수많은 곳에서 vi와 vim을 이용한 터미널 명령어들을 접해왔지만 처음 vi를 켰을때 오는 아찔한 위압감에 패배해 항상 open 명령어로 바꿔 이용해왔다. 하지만 어느 순간 open으로는 권한으로 인한 편집 불가라는 한계에 부딪혔고 최근 vi를 조금씩 알아가다 보니 생각만큼 무시무시한 녀석은 아니라는 걸 깨닫게 되었다. 이 글이 나와 같이 vim에게 패배한 사람들에게 한번 더 도전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위 화면은 터미널에서 etc(폴더) - ssh(폴더) - sshd_co..
-
TCP/UDP 포트 목록Network의 온도 2022. 7. 6. 17:50
포트 목록은 크게 아래 3개 그룹으로 분리가 되고 우리가 특정 목적으로 포트를 변경할 때는 동적 포트 범위를 사용하면 된다. 0번 ~ 1023번: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 1024번 ~ 49151번: 등록된 포트 (registered port) 49152번 ~ 65535번: 동적 포트 (dynamic port) Protocol Port Description FTP 20, 21 / TCP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 SSH or SFTP 22 / TCP Secure Shell. SSH(or Secure) FTP svn + ssh 22 / TCP svn과 ssh 프로토콜을 합친 프로토콜 (ex: svn+ssh://svn-domain/blabla ) T..
-
Iptime 공유기 포트포워딩 방법Network의 온도 2022. 7. 5. 22:42
포트 포워딩을 위해서는 먼저 Iptime의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해야 하는데 변경한 적이 없다면 "192.168.0.1"을 인터넷 주소창에 적은 뒤 엔터를 누르면 진입할 수 있다.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는데 아이디와 비밀번호 역시 변경한 적이 없다면 모두 "admin"을 적어 넣으면 된다. 로그인 후 관리 도구를 누르면 왼쪽에 메뉴탐색기가 보이는데 "특수기능"을 누르고 하위 메뉴 중 "DDNS 설정"으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빨간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에 항목 중 호스트 이름과 사용자 ID를 적어 넣으면 되는데 먼저 호스트 이름은 도메인의 앞글자를 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xxxxxx.iptime.org라는 주소로 외부에서 공유기로 접속할 수 있고 xxxxxx의 들어갈 문자열을 정하..
-
맥 SSH/SFTP 포트 변경 방법Network의 온도 2022. 7. 5. 21:27
아래 과정을 따라가기 위해 먼저 vi 및 vim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귀찮더라도 이전 글을 읽어야 포트 변경을 하는 것이 수월해질 수 있다. vi, vim 사용법 먼저 vi와 vim은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지만 비슷한 예를 찾자면 튜닝된 차량을 예로 들 수 있는데 vi는 unix의 기본 편집기이며 그를 계량한 것이 vim 되시겠다. 나는 처음 맥을 접하고 많은 정보들 circumeo.tistory.com 맥의 SSH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가 되어있어 SSH를 사용하려면 "시스템 환경설정" -> "공유"에 진입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원격 로그인" 탭이 존재하는데 체크하게 되면 SSH는 활성화가 된다. 이후 외부 접속을 하려고 한다면 보안을 위해 포트 변경이 권장되며 몇 가지의 설정 변경을 통해 접속 지연을..
-
카카오톡 듀얼로 이용하기Mac의 온도 2022. 5. 31. 18:30
윈도우는 "Sandboxie"를 이용하여 손쉽게 서로 다른 계정으로 두 개의 카카오톡을 사용할 수 있다. 맥도 터미널을 이용한 방법으로 듀얼 사용이 가능했지만 최근 카카오톡의 업데이트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는데 최근 스크립트가 수정되어 2022년 5월 31일 현재 기준 아래의 스크립트를 복사하여 터미널에 붙여 넣기 한 후 실행하게 되면 카카오톡 앱이 두 개가 되어 듀얼 카카오톡이 이용 가능해진다. rm -rf /Applications/KakaoTalkDev.app cp -a /Applications/KakaoTalk.app /Applications/KakaoTalkDev.app mv /Applications/KakaoTalkDev.app/contents/MacOS/KakaoTalk /Applica..